콤플렉스 4

자격지심이 생기는 이유 : 융 심리학으로 보는 그림자와 콤플렉스의 정체

나도 모르게 누군가 앞에서 위축되거나,말 한마디에 지나치게 예민해질 때가 있다.그럴 때 우린 흔히 '자격지심 때문인가?' 하고 생각한다.하지만 이런 감정이 반복된다면,그건 단순한 자격지심이 아닌 더 깊은 심리작용일지도 모른다.이 글에서는 우리가 익숙하게 쓰는 '자격지심'이라는 감정의 정체를 시작으로,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말하는 ‘그림자’와 ‘콤플렉스’의 연결고리를 따라가 본다.감정이 왜 그렇게까지 휘몰아치는지, 그 이유와 해결의 실마리를 함께 찾아보자. 그림자(shadow)란 무엇인가?자아가 받아들이지 못하고 억압한 '자기 일부'부끄럽거나 약하다고 여긴 특성들을 말한다.(전체 자아 중 의식이 받아들이지 않은 부분)도덕적으로 용납되지 않거나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욕구, 감정, 충동 등이 포함됨.나에게 부정적..

감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2) - 통제할 수 없는 감정의 정체와 회복의 조건

“다른 사람과 있을 땐 괜찮은데,유독 그 사람 앞에선 감정이 폭발해요.”왜 우리는 어떤 감정에선 벗어날 수 없는 걸까?이 감정은 내 탓일까, 아니면 나를 둘러싼 관계의 구조 때문일까.융 심리학은 이 감정의 뒤에는 반드시 무의식의 콤플렉스가 작동하고 있다고 말한다.이 글에서는 감정이 폭발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왜 그 감정을 이겨내기 힘든지,그리고 어떻게 해야 나를 다시 회복할 수 있는지를 짚어본다. 왜 어떤 감정은 통제되지 않을까? : 특정 사람 앞에서 무너지는 감정의 이유우리가 특정 상황이나 사람 앞에서 이유 없이 감정이 폭발할 때,그건 현재의 일이 아니라 과거의 ‘묶인 감정’이 무의식에서 올라온 결과다.나는 늘 평온하던 직장 동료 A에게 작은 실수를 지적받았을 뿐인데, 갑자기 눈물이 났다.그 순간 감정..

콤플렉스는 왜 반복될까? 무의식의 감정 덩어리를 이해하고, 전이와 수용으로 찾는 진정한 나

2025.05.28 - [심리학 공부/칼 구스타프 융] - 융 심리학으로 이해하는 콤플렉스 |감정이 강조된 콤플렉스, 자아콤플렉스 융 심리학으로 이해하는 콤플렉스 |감정이 강조된 콤플렉스, 자아콤플렉스“왜 나는 비슷한 상황에서 늘 같은 반응을 보일까?”“특정한 말이나 상황에서 갑자기 감정이 솟구치는 이유는 뭘까?”융 심리학은 이런 질문에 콤플렉스(complex)라는 개념으로 답한다.콤플렉awelcomerain.tistory.com이전 글에 이어 콤플렉스 반복의 이유, 전이와 감정 통합까지마음의 숨은 흐름을 따라가 본다. 우리가 콤플렉스를 불현하게 느끼는 이유우리는 콤플렉스를 선명히 인식하지 못한다.왜냐하면 그것은 의식이 감당하지 못해 무의식에 밀어넣은 내용이며,의식의 방어기제가 작동해 직접 드러나지 않고..

융 심리학으로 이해하는 콤플렉스 |감정이 강조된 콤플렉스, 자아콤플렉스

“왜 나는 비슷한 상황에서 늘 같은 반응을 보일까?”“특정한 말이나 상황에서 갑자기 감정이 솟구치는 이유는 뭘까?”융 심리학은 이런 질문에 콤플렉스(complex)라는 개념으로 답한다.콤플렉스는 단순한 감정의 뭉치가 아니라,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하는 심리적 매듭이다.이 글에서는 콤플렉스의 개념, 명칭의 유래, 융 심리학에서의 위치까지 꼼꼼히 살펴본다.융은 심리학을 과학의 반열에 올려놓고자 했던 사람이다.그가 학계의 인정을 받게 된 것도 '단어연상실험'이라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콤플렉스를 밝혀 냈기 때문이다. 융은 심리학과는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UFO라는 생뚱맞은 주제에 관심이 있었다.그는 UFO가 물리적 실재인지 아닌지에 관심이 없었다.그가 알고자 한 것은 '왜 사람들의 마음이 그러한 산물을 창조하는지..